수용 찬반 설문조사…학우 74.3%'반대' | |||||
작성자 | 정** | 작성일 | 2018-09-04 | 조회수 | 1154 |
---|---|---|---|---|---|
‘가짜 난민 GET OUT’, ‘난민 GET IN’. 지난 6월 30일 광화문 일대에서 제주도 예멘 난민 수용 찬·반을 두고 맞불집회가 열렸다. 지난 5월 초부터 6월 중순까지 무사증 제도를 통해 약 500명의 예멘 난민들이 제주도에 들어왔다. 무사증 제도는 제주도의 관광객 유치를 위해 2002년부터 실시한 제도로 11개의 테러 지원국을 제외한 국가에 한 달 동안 무비자로 국내 체류를 허가해 준다. 이 제도를 통해 2015년 수니파 정부군과 시아파 후티 반군 사이의 내전으로 살기 힘들어진 예멘 난민들이 제주도에 장시간 체류하게 됐다. 예멘 난민들의 제주도 불법 체류가 늘자 정부는 ‘예멘’을 무사증 제도 제외 국가에 포함했다. 많은 난민이 한 번에 들어온 유례없는 일로 제주도민들의 불안감은 커진 상황이다.
이들의 수용 문제를 두고 찬·반 여론이 팽팽히 맞서고 있다. 이에 <울산대신문>은 136명의 학우 설문 조사를 통해 난민 수용에 대한 생각을 알아봤다.
이번 설문조사에 따르면 난민 수용에 반대하는 입장이 74.3%로 압도적인 결과를 보였다. 난민 수용에 찬성하는 입장은 13.3%, ‘보통이다’고 생각하는 입장은 12.5%로 가장 적었다.
학우들의 성별에 따른 찬성과 반대의 비율도 다르게 나타났다. 난민 수용을 찬성하는 비율은 남 학우와 여 학우 각각 12.6%와 13.8%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반대 답변은 남 학우 67.7%, 여 학우 80%로 전자에 비해 큰 차이를 보였다.
난민 수용을 찬성하는 이유는 ‘우리도 ‘난민’이었을 때 주변에서 도움을 많이 받았기 때문에 이제는 우리가 도울 차례다’가 가장 많았다. 이어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난민을 수용해야 한다는 답변과 범죄 경력을 기준으로 해 합격한 난민만 수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뒤를 이었다.
난민 수용을 반대하는 이유로는 ‘우리나라의 소외당하고 있는 계층에 대한 복지가 우선’이라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유럽의 선례를 봤을 때 난민 수용으로 인해 국가에 사회 혼란이 많아졌으므로 난민 수용을 반대한다는 의견이 주를 이뤘다. 이어 국가의 치안이 걱정된다는 의견이 뒤따랐다.
난민 수용에 대한 합의안이 나왔다면 그들을 어디까지 수용해야 할지 묻는 질문에는 ‘난민을 받아들이지 말아야 한다(이미 입국한 난민까지만 받아들임)’이 37.5%로 가장 많았다. 그 뒤로는 ‘받아들이면 안 된다(이미 입국한 난민들도 추방)’이 30.9%를 차지했고 그 다음으로는 ‘난민을 받아들여야 한다(지금 수준으로, 혹은 지금보다 덜)’이 24.3%, 기타 의견이 5.1% 순으로 나타났다. ‘난민을 받아들여야 한다(지금보다 더)’는 2.2%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설문조사 결과 아직까지는 제주도 예멘 난민의 수용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크며 섣부른 난민 수용 은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학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가의 소외 계층에 대한 복지가 우선이며 난민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더욱 엄격하고 강한 규제와 제도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학우들이 많았다.
제주도 내에서도 예멘 난민의 수용 여부를 두고 두 입장이 대립하고 있다. 제주도 난민 수용에 찬성하는 제주대학교 한성리(사회학·4) 씨는 “우리는 예멘 난민을 정확히 알지 못하고, 알려고 하지 않는다”며 “이 문제가 난민에 대한 원색적인 비난을 피하고 난민이란 ‘타인’을 안정적으로 수용해 더불어 사는 사회가 되는 계기가 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제주도 난민 수용에 반대하는 제주대학교 민상이(행정·1) 씨는 “우리는 인도적인 차원에서 난민 보호할 책임은 있지만 이것이 일정 기간을 넘어 지속해서는 안 된다”며 “국가는 국민의 보호가 먼저인지 난민의 보호가 우선인지 생각할 때이다”고 말했다.
제주시 일도동에 사는 김민선(37세) 씨는 “제주도 난민 수용을 두고 도민들끼리도 찬성과 반대가 나뉜다”고 말했다. 이어 김 씨는 “정부는 제주도민들의 의견에 귀를 기울여 이곳에 사는 사람들을 위한 가장 합리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울산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