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QI 평가’ 통해 학습역량 한 눈에 보자 | |||||
작성자 | 김** | 작성일 | 2017-09-05 | 조회수 | 496 |
---|---|---|---|---|---|
2012년부터 대부분 강좌에서 실시 이번 학기부터 강의 평가와 분리 지난달 미리 담기 및 수강신청부터 ‘주요품질지표(Key Quality Indicator, 이하 KQI)’를 기반으로 한 평가제도가 도입됐다. 해당 평가를 실시해야 미리 담기가 가능한 점에서 기존의 강의 평가와 비슷한 형태다. 기존의 강의 평가는 과목 유형별 공통문항으로 평가하지만 KQI 평가는 과목별 특성에 맞게 지정된 핵심역량을 학우가 자체 평가한다는 것이다. 우리 대학교는 2000년 10월부터 대학경쟁력 강화를 위해 ‘말콤 볼드리지(Malcolm Baldrige) 품질기준’을 적용한 교육품질 혁신 프로그램을 개발 및 시행했다. 이를 통해 우리 대학교는 교육, 연구, 행정 서비스 등 전 분야에서 교육수요자 만족을 대학 경영의 최우선 과제로 관리했다. 2000년도부터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완성된 것이 KQI 평가다. 우리 대학교는 이 시스템을 기반으로 교육의 질을 자체적으로 진단, 평가할 수 있는 ‘지속적 자율순환형 교육품질 개선 체계(CQSIS)’를 구축했다. KQI 평가는 2012년 2학기부터 대부분의 강좌에서 실시했으며 기존에는 성적확인 기간 동안 강의 평가 내용에 포함해 평가했다. KQI 평가는 평가 의도와 다르게 성적확인을 위해 일괄적으로 최대 또는 최소 점수를 부여하는 학우가 많아 평가 시기가 미리 담기 전으로 변경됐다. 이번 학기 결과를 토대로 어떤 시기에 평가하는 것이 신뢰성이 있는지 판단해 2학기에 적용할 예정이다. 기획평가팀 서향미 부장은 “KQI를 통해 수업에서 잘된 점과 미흡한 점을 찾아 다음 학기 수업을 준비할 수 있다”며 “좋은 취지로 만들었으니 잘 활용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학적 기본조회에 있는 KQI 달성도의 구성 요소는 ▲인본 정신 ▲공동체 정신 ▲도전정신 ▲의사소통역량 ▲창의융합역량 ▲전공역량 ▲글로벌역량 총 7가지이다. 이 항목들은 우리 대학교 교육이념을 반영해 제3차 중장기발전계획에서 제시된 인재상을 구현하기 위해 정립됐다. KQI 달성도는 학우들의 대학 생활에 많은 도움을 줄 전망이다. 학우들은 KQI 달성도를 통해 입학 시점부터 졸업까지의 역량 변화를 쉽게 볼 수 있으며 자신의 부족한 점을 알 수 있다. 서 부장은 “학우들이 이를 취업 시에도 활용했으면 좋겠다”며 “자신의 강점 부각 또는 약점 보완을 위한 노력의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현진 기자 khj970923@mail.ulsan.ac.kr
<저작권자 ⓒ 울산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