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학교 | 울산대미디어
본문바로가기
ender

뉴스미디어

뉴스미디어

바뀐 정권,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미래는
작성자 이** 작성일 2017-06-22 조회수 1056

  

정부 18개 센터 통·폐합 고려해

기조 변화 크지 않을 것이라 기대


 

 

 문재인 정부의 출범으로 박근혜 정권의 핵심 사업 기구였던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대대적인 개편을 맞이할 전망일 가운데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가 변화의 기로에 놓였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박근혜 정권 당시 창업기업 육성과 중소기업 혁신 및 지역특화사업을 목표로 만들어진 기관이다. 새 정부는 기존의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창업 허브로 개편하고 지역별 18개 센터를 효율적으로 통폐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이 일자리 창출을 주요 공약으로 내놓으며 창업 및 벤처기업 지원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기에 창조경제혁신센터의 기조는 변하지 않을 것이라는 여론이 대세다.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는 정권 교체에 동요하지 않고 본 기관에 주어진 업무를 성실히 수행하겠다는 입장이지만 냉정한 판단을 내리는 전문가도 적지 않다.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가 설립 취지인 해양플랜트사업에 미미한 성과를 보였다고 지적한 것. 이에 통·폐합을 피해갈 수 없을 것이라는 추측도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사업기획본부 허수진 관계자는 언론에서 창조경제의 미래를 점치고 있지만 결정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문 대통령도 고용과 창업, 4차산업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다고 말했다.

  허 관계자는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미래창조과학부 산하의 중소벤처기업부로 옮겨갈 가능성에 대해 어느 부처에 속하게 되던 우리의 역할은 한결같다기존산업 혁신,4차 산업혁명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고용창출이라는 과제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창조혁신센터의 개편 방향에 대해 벤처기업을 활성화하고 창업자를 중심으로 전주기 지원을 하는 창조경제혁신센터의 본질을 지속적으로 유지·보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덧붙여 대기업-전담기업과의 관계도 피상적인 것이 아니라 각 센터의 특화사업과 연계해 활성화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는 현재처럼 지역 성공기업들이 스타트업 기업을 육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계속해 나갈 예정이다. 이를 위해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의 독자적 운영을 위한 수익구조를 확보하고 지역 중견기업과 창업기업의 1:1 매칭 육성지원에 힘쓰는 것이 센터가 가진 목표다.

  허 관계자는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중요성에 대해 원스톱으로 이루어지는 전주기적 지원을 하는 기관이다많은 구직자와 예비 창업자들에게 도움을 주고 있는 만큼 창조경제혁신센터의 필요성이 확실하다고 전했다.

 

 

 

이예지 기자 cjvj321@mail.ulsan.ac.kr

<저작권자 ⓒ 울산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