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학교 | 울산대미디어
본문바로가기
ender

뉴스미디어

뉴스미디어

과거 속을 항해하는 나는 아쿠아맨
작성자 이** 작성일 2017-03-20 조회수 892


나는 과거로 돌아가는 타임머신이 있다면 한 치 망설임 없이 올라탈 것이다
. 현재 내 삶이 너무 불행해 도피하고 싶어서는 아니다. 과거의 나에게 귀띔을 해준다면 더 나은 내가 있을 것 같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어디로 돌아가서 이 말 을 꼭 해줘야 한다고 계획하고 있지는 않다. 사실 어디로 돌아가야 하는지도 잘 모른다. 하지만 확실한 건 나는 타임머신에 올라탈 것이다.

어제 뭐 했어야 했는데’, ‘그때 그거 살 걸 그랬다라는 후회를 자주 한다. 또 어제 있었던 얘기, 고등학교 시절 얘기를 하는 것이 즐겁다. 이 글을 쓰고 있는 현재에도 과거를 생각하고 있다. 과거가 현재가 되는 자신을 찾기란 쉽다. 과거는 굉장히 달콤하다. 나는 현재 울렁증과거중독자이다. 아직 현재를 맞이할 준비가 안 됐다.

미드나잇 인 파리라는 영화 속의 주인공, 길은 우연한 기회로 1920년대의 파리로 가게 된다. 존경했던 헤밍웨이를 만나며 자신이 생각했던 황금시대에 왔다는 생각에 너무 행복해한다. 그 과거에서 아드리아나를 만나게 되고 사랑에 빠지게 된다.

우연히 아드리아나와 1890년대로 가게 된다. 아드리아나는 길에게 1890년대가 자신의 황금시대라며 남겠다고 한다. 이때 길은 당신이 여기 머물면 여기가 현재가 돼요. 그러면 또 다른 시대를 동경하겠죠.”라고 말한다. 그 뒤에 현재란 그런 거예요. 늘 불만스럽죠. 삶이 원래 그러니까.”라는 말을 덧붙인다.

나는 왜 현재는 늘 불만스러운지에 대해 의문이 들었다. 그 해답을 5살짜리 꼬마에게 듣게 됐다. “저는 지금 너무 행복해요. 왜냐면요. 지 금 하고 싶은 게 많아서요.”라고 말했다. 하루 24시간도 부족한 우리다.

어제 할 일을 다 못했으니 오늘 채워야 한다는 생각에 급급하다. 남들보다 뒤처질까 봐. 나만 놀고 있는 것 일까 봐. 어느 순간부터 지금은 없어졌다.

다시 새 학기가 돌아왔다. 누군가에게는 처음 밟아보는 새로움이지만 누군가에게는 오랜만에 밟아보는 익숙함이다. ‘설명 한 번만 듣고 가세요.’라는 말이 여기저기서 들리며 정문은 가두모집으로 분주하다. 이게 3월 새 학기를 알리 는 소리가 아닐까.

처음 보는 과 잠바와 몰려다니는 새내기들. 새 학기에 대한 기억이다. 새 학기, 새 학년, 새로운 후배와 선배 등 새로운 것들이 가득하다. 어디에든 를 붙여도 어색하지 않다. 새로움과 익숙함이 공존하는 시기이다. 과거로 돌아갈 수 없다.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이다. 과거의 일이 생각난다면 과거가 아니라 지금 하고 싶은 일일 것이다.

<저작권자 울산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