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의 갑질···흔들리는 대학들 | |||||
작성자 | 박** | 작성일 | 2016-09-09 | 조회수 | 338 |
---|---|---|---|---|---|
3개월 만에 지원 보고서 요구 교육부 졸속 행정 도마 위에 올라
교육부가 대학 재정 지원 사업을 미끼로 제시하면서 대학교를 제 입맛에 맞추고 있다.이화여대 사태와 더불어 프라임 사업으로 ‘인문대 죽이기’까지 사업으로 대학교의 자율성을 지나치게 침해한다는 의견이 거세다. 사업 선정을 위해 학과 인원 조정을 하는 과정에서 대학교 측은 ‘폐과’라는 극단적인 조치를 취하기도 한다. 우리 대학교는 지방대학특성화 사업인 CK-Ⅰ사업으로 26억 원, 산학협력선도대학육성(LINC)사업으로 51억, BK21플러스 사업으로 23억 원을 받았다. (모두 2015년 기준) CK-Ⅰ사업의 경우 총사업비의 30%, LINC 사업의 경우 총 사업비의 65%를 교육부에 지원받는다. 기획평가팀 서향미 부장은 “우리 대학교에 불이익이 없는 범위 안에서 재정 확충을 위해 교육부 사업에 지원한다”고 말했다. 막대한 금액이 달려있다 보니 대학교는 교육부의 사업에 매달릴 수밖에 없다. 특히 ACE사업의 경우 2010년에 선정돼 연간 약 40여억 원의 지원금을 받았지만 2014년 ACE사업에서 탈락했다. ACE사업과 함께 시작한 글로벌마케터양성사업과 LaTU 프로그램(외국인 교환학생과 회화 스터디를 진행)은 지금도 진행하지만 정작 인문대 국제학부는 폐지됐고, 자유전공은 사라지게 됐다. A 교수는 “대학교는 중장기적으로 계획을 세워야 하는데 교육부가 사업 선정을 단기간에 진행하면서 대학교의 거시적인 시선을 막고 있다”며 “재정 지원을 받기 위해 학교의 반강제적인 요구로 논문을 쓰기보다 사업 선정을 위한 보고서를 쓰는 데 치중하게 된다”고 말했다. 심지어 타 대학교에는 지원 사업 보고서만 쓰는 교수팀도 있다.
박수빈 기자 soobin14@mail.ulsan.ac.kr <저작권자 © 울산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다음글
- 학생회비 32년 만에 인상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