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초기 소화기 1대가 소방차 1대 역할 | |||||
작성자 | 박** | 작성일 | 2015-06-08 | 조회수 | 695 |
---|---|---|---|---|---|
지난 3월 인천 강화도 캠핑장 화재는 많은 이들을 충격에 빠트렸다. 화재의 원인은 불량 난방용 전기 패널 때문이었다. 그러나 캠핑장에 있던 3대의 소화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결국 다섯 명이 숨지고 두 명이 부상을 입었다. 우리 대학교도 화재사고에서 안전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작년 건축관 캐드실에서 열 기구를 통한 작업을 하던 중 화재 사고가 발생하였다. 큰 화재로 번지지는 않았지만 충분히 위험한 상황이었다. 이외에도 기숙사나 동아리방에서 잘못된 난방기구 사용으로 인해 화재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이러한 화재 진압에 가장 도움이 되는 것은 소화기이다. 소화기는 3.3kg이지만 화재 발생 초기에 작은 소방차 한 대의 몫을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소화기가 잘 구비되어 있더라도,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소화기는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 우리 대학교에 있는 소화기는 서류 상에는 1635대이지만 실제로는 총 2000대 이상으로 추산된다. 시설관리팀의 윤기준 과장은 “소화기 미작동시를 대비해 복도에도 여러 대를 설치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우리 학교는 일 년에 한번 소화기 정밀검사를 실시하고 용역업체에서 세 달에 한번 정기적인 소화기 점검을 한다. 그러나 울산대신문에서 총 11개 건물의 소화기를 조사한 결과 한 강의실에 소화기가 아예 존재 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으며, 디자인미술대학 건물에서는 2008년 6월 17일 이후로 한번도 점검이 되지 않은 소화기도 있었다. 몇 몇 소화기는 점검표가 붙어있지 않아 최근 점검 일자를 확인할 수도 없었다. 생활과학관의 소화기 49대 중 점검표가 없거나 이번 해에 점검이 되지 않은 소화기는 18대로 점검이 잘 되지 않는 소화기가 36%에 달했다. 이에 대해 윤기준 과장은 “용역업체에서 형식적으로 조사를 하는 문제가 있는 것 같다”며 용역업체와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소화기에서 가장 중요하게 점검해야 할 사항은 압력이다. 압력이 정상이 아니면 소화기의 분말이 정상적인 양보다 적게 분출이 되거나 아예 분출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윤기준 과장은 “압력계에서 정상을 나타내는 녹색칸에서 약간 벗어나는 것은 처음에 소화기에 압력을 넣을 때 압력이 빠질 것을 대비하여 압력을 조금 더 넣기 때문”이라며 “이 정도는 정상으로 볼 수 있다”고 전했다. 다만 정상 범위를 많이 벗어난 소화기에 대해서는 “4월 30일에도 일괄적으로 수리를 했다”며 “불량 소화기가 회수되지 않고 새 소화기와 함께 방치되고 있을 수도 있으니 시정하겠다”고 전했다. 그러나 정작 소화기를 사용해야 할 학우들은 소화기에 관심이 적다. 김예진(경영정보학·2) 학우는 “수업을 듣는 강의실 안에 소화기가 있는지 잘 몰랐다”며 “소화기 훈련을 마지막으로 받은지가 언젠지도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21일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 소화기 체험 교실이 아산스포츠센터 야외무대에서 열렸으나 참여한 학우는 80명에 불과했다. 이는 작년보다 더 많은 학우가 참여한 것이었다. 기숙사에서도 한 해에 두 번 소방 관련 교육을 실시하지만 참가하는 인원은 극히 적다. 이에 대해 남부소방서 예방안전과의 김성철 소방관은 “화재는 무엇보다 초기진압이 중요하니 가까운데서 소화기 사용 훈련을 한다면 꼭 배우는게 좋다”며 화재예방을 위한 학우들의 관심을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