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상식 다양성 영화 | |||||
작성자 | 편** | 작성일 | 2014-07-11 | 조회수 | 1442 |
---|---|---|---|---|---|
‘독립 영화’, ‘다큐멘터리 영화’. 이들은 작품성은 뛰어나지만 상업영화에 반하는 저예산 영화들이다. 이런 영화를 ‘다양성 영화’라고 부른다. 이러한 영화는 상업성을 중요시하는 상업영화에서는 전달할 수 없는 메시지를 전달하기도 한다. 천암함 사건 음모론을 제기한 영화 ‘천암함 프로젝트’가 그 대표적인 예다. 다양성 영화는 주로 대형 멀티플렉스 영화관이 아닌 소규모 독립영화관들을 통하여 짧은 기간 동안 상영된다. 하지만 간혹 그 작품성을 인정받아 대형 영화관에서 오랜 기간 상영되기도 한다. 소와 할아버지의 삶을 다룬 영화 ‘위낭소리’가 다양성 영화의 대표적인 예다. 6개의 상영관으로 시작한 이 영화는 약 300만 명의 관객을 동원해 ‘다양성 영화’의 저력을 보여주기도 했다. 다양성 영화에 대한 관심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최근엔 여중생의 성폭행 사건을 다룬 영화 ‘한공주’가 다양성 영화사상 최단기간에 1만 관객을 돌파하며, 다양성 영화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지원과 상영영화관 부족 등의 이유로 다양성 영화가 설 자리는 점점 더 좁아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