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학교 | 울산대미디어
본문바로가기
ender

뉴스미디어

뉴스미디어

태블릿PC, UCLASS 적극 활용을
작성자 김*** 작성일 2014-05-02 조회수 1864

지난 201161. 우리 대학교와 ()SKT가 태블릿PC 지급 지원, 무선공유기 설치 등의 내용을 담은 양해계약서를 채결했다. 이 계약은 우리 대학교가 본격적인 스마트 캠퍼스 조성을 실현하는 시발점이었다. SLMS(Smart Learning management System)를 지향하며 시작된 스마트 캠퍼스 사업은 태블릿PC 지급 지원, 무선공유기 추가 설치, UCLASS와 같은 관련 콘텐츠 확보 등 다양한 사업으로 나눠져 현재까지 30개월에 걸쳐 실행됐다. 그 결과 스마트 캠퍼스 사업은 관련 인프라를 확충하는데 성공했다. 하지만 초기 목표를 달성한 이후 더 발전된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외면 받는 태블릿PC

스마트캠퍼스 진행을 위한 첫걸음으로 여겨진 태블릿PC 지급은 현재 학우들에게 외면 받고 있다. 2011년 약 8000여명에 달했던 태블릿PC 신청자는 이듬해 약 2400, 2013년에는 784명으로 급격하게 줄어들었다. 수치에서 알 수 있듯 지급 초기와 다르게 태블릿PC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들이 많아졌다. 수업과 연계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수현(행정학·4) 학우는 지금껏 대학생활을 하면서 태블릿PC를 직접적으로 활용한 수업은 없었다태블릿PC가 없더라도 인터넷 강의나 수업자료는 스마트폰, 노트북 등 다른 전자기기를 이용해도 충분하다고 말했다.

태블릿PC 주요 지급 대상자인 신입생들의 입장도 대부분 부정적이다. 특히 신입생의 경우 스마트 캠퍼스의 취지를 모른 채, 단지 우리 대학교에 입학하기 때문에 태블릿PC를 준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많았다. 정혜진(간호학·1) 학우는 태블릿PC 지급 사업에 대한 설명을 전혀 듣지 못했다며 태블릿PC 지급 약관 등을 되묻기도 했다.

이렇게 한계가 들어난 태블릿PC 지급 사업은 사실상 종료 수순을 밟고 있다. ()SKT와의 스마트 캠퍼스 사업계약이 2016531일부로 종료되기 때문이다. 이에 20146월 이후 신청자부터 태블릿PC 보조금 지원이 점차 줄어들 예정이다. 예를 들어 20147월 태블릿PC를 신청하면 23회의 보조금 밖에 받지 못하고, 동년 8월 신청하게 되면 22회의 지원을 받는 형식이다. 기획평가팀 마재경 과장은 태블릿PC 지급 사업은 더 이상 연장될 계획이 없다태블릿PC 사업만 진행되지 않는 것 일뿐 스마트캠퍼스 관련 사업은 계속 진행되어 초기 사업이 지향하던 것을 따를 것이다고 말했다.

 

잘 만들고 활용 못하는 UCLASS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이용률과 홍보 부족의 문제는 콘텐츠인 UCLASS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태블릿PC의 지급에 발맞춰 개발된 콘텐츠 UCLASS는 강의도우미의 더 나은 대안으로 여겨지며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운용했다.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됐지만 2년이 지난 지금,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결과를 내고 있다. 아직도 2012년 당시 폐쇄 예정이던 강의도우미를 사용하거나, 아예 수업에 UCLASS를 활용하지 않고 있는 강좌들이 많기 때문이다. 최민영(글로벌경영·2) 학우는 우리 과는 UCLASS와 더불어 아직도 강의도우미를 같이 사용 한다과제나 자료가 같은 곳에 있지 않아 혼동을 주기 때문에, 이것을 통일 시켜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UCLASS 활용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그 선두에 UCLASS 활용 주체가 될 교수들의 역할이 강조된다. 교수학습개발팀 조동성 대리는 “UCLASS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교수님들의 참여가 필요하다“UCLASS를 잘 활용하시는 교수님들에게 인센티브를 줘 사용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UCLASS, 더 나아가 스마트 캠퍼스 사업에 대해 널리 알리고 그것의 역할을 제대로 확립해야 한다. 특히 신입생에게 이 과정은 필수적이다. 조동성 대리는 작년 프레시맨 세미나를 통해 신입생들에게 스마트 캠퍼스 관련 내용을 설명하고 홍보하는 시간을 가졌다아직 미정이지만 올해도 그러한 자리를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고 전했다.

 

스마트캠퍼스란?

정보통신 환경변화에 대한 능동적인 대응으로 교육의 질을 향상하고, 정보통신 인프라 확충 및 첨단화를 목표로 이뤄진 학교 정책이다.

크게 세 가지 분야로 나뉘는데 Smart Education(SLMS:Smart Learning Management System) Smart Office Smart App 등을 목표로 한다. 자세한 내용은 우리 대학교 스마트캠퍼스 홈페이지(WWW.ulsan.ac.kr/smart)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