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학교 | 울산대미디어
본문바로가기
ender

뉴스미디어

뉴스미디어

부산국제영화제에 대한 부산시의 무리한 간섭
작성자 김** 작성일 2016-05-23 조회수 796

아시아 최대의 영화제 부산국제영화제가 정치적 갈등으로 위기를 겪고 있다. 부산국제영화제는 지난해 20주년을 맞은 세계적인 영화제다. 19회 영화제는 세계 79개국 312편의 초청작이 상영됐고, 사상 최대 규모인 총 226473명의 관광객이 찾았다. 그러나 제21회 영화제는 부산시와 부산국제영화제 측의 갈등으로 영화제가 열리지 못할 위기다.

갈등의 시작은 지난 2014년 제19회 영화제부터다. 부산국제영화제 측은 세월호 사건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다이빙벨>을 부산국제영화제에 상영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부산시 서병수 시장은 “<다이빙벨>상영은 영화제의 정치적 중립성을 훼손한다며 상영 금지를 요구했다. 이용관 당시 영화제 집행 위원장은 영화제 상영은 프로그래머 고유의 권한이라며 부산시의 요구에도 <다이빙벨>을 상영했다. 그 후 부산시는 부산국제영화제의 예산을 약 1/2 삭감하고, ‘협찬금 중계수수료 편법 지급이라는 혐의로 이용관 집행위원장 및 부산국제영화제 간부들을 검찰에 고발했다. 지난해 열린 제20회 영화제가 무사히 진행됐지만, 부산시와 부산국제영화제 측의 갈등은 계속됐다. 지난 2월 부산국제영화제는 최악의 위기를 맞이했다. 정기총회에서 부산시가 이용관 집행위원장을 연임하지 않고 사실상 해고한 것이다. 영화인들은 이 일이 집행 위원장의 거취 문제가 아닌, 영화제에 대한 부산시의 간섭이라고 말했다. 우리나라 148명의 감독은 현 사태가 지속되면 2016년 부산국제영화제에 대한 보이콧을 감행하겠다고 말했다. 이와 같은 갈등이 장기간 지속 돼 스폰서 금액, 출품작품이 급감했다.

  지난 4일 부산 서병수 시장이 물러난 조직위원장 자리에 김동호 부산국제영화제 명예집행위원장이 임명됐고 사태는 일단락됐다. 또 부산시장이 조직위원장을 맡는 조항을 없앴다. 김동호 명예집행위원장을 집행위원장으로 임명하고 올해 영화제를 먼저 치르기 합의한 것이다. 이로 인해 부산국제영화제에 대한 부산시의 간섭이 조금은 줄어들 전망이다.

당장은 합의가 됐지만, 이번 사건으로 부산시와 부산국제영화제가 입은 이미지 타격은 커 보인다. 부산시도 영화제에 부당하게 정치적으로 간섭했다는 책임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여전히 협찬금 중계수수료 편법 지급이라는 혐의로 이용관 집행위원장 및 부산국제영화제 간부에 대한 검찰의 수사가 진행 중이다. 부산시는 <다이빙벨>이 정치적 중립을 훼손한다고 상영하지 말라는 명령에 거부한 부산국제영화제 측에 명백한 정치적 보복을 했다. 그러나 많은 사람이 ‘2014년 당시 최대 이슈였던 세월호 사건을 기록한 다큐멘터리를 상영하는 것이 정치적 중립성을 훼손한다 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을 제기한다. <다이빙벨>은 세월호 사건에 대한 국민의 안타까움, 분노를 담아낸 다큐멘터리 영화다. 해외 영화제에서 비슷한 예를 찾아볼 수 있다. 칸 영화제는 2004년 마이클 무어 감독이 영화<화씨 9·11>를 상영해 정치적 중립을 훼손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화씨 9·11>9·11테러에 대한 음모론을 제기하고 부시 정부를 비판한 영화다. 그러나 당시 칸 영화제 위원장은 칸 영화제가 정치적인 게 아니라, 마이클 무어가 정치적이다고 말했다. 베를린 국제 영화제도 정부와 시가 영화제를 같이 운영하지만, 프로그램 선정에 어떠한 외압도 없다.

 

김지훈 기자 gns3150@mail.ulsan.ac.kr

<저작권자 © 울산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