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해에는 정부 권력에 의한 언론탄압 문제가 많이 발생했다. YTN, KBS 등의 언론탄압을 보면서 대학신문기자로 살아가는 필자에겐 그것이 단순한 사회 문제만으론 다가오지 않았다. ‘공정방송’을 외치는 기자들이 권력의 힘에 의해 해직당하고 감봉을 받는 모습은 낯설지 않았다.
최근 울산대신문은 선거특집 419호를 도난당했다. 결국 학우의 제보를 통해 신문을 되찾긴 했지만 대부분의 학우들이 사건이 어떻게 진행돼가고 어떤 결말이 나올지에 대해 궁금해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사건은 진행 중이다. 신문을 가져갔다고 밝힌 학생회 측에서 ‘사과하겠다’고 말하고 있지만 ‘우리 입장에선 신문에 문제가 있고 선거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수거했을 뿐’이라는 입장을 고수하며 자신의 행동들을 합리화 하고 있다.
이번 사건은 대학 내에서 일어날 수 없는 ‘비상식적’인 행위임이 분명하다. 신문의 내용이나 편집상 문제가 있을 경우엔 신문사로 직접 연락해 문제를 제기하고 이에 대한 답변을 듣는 공식적인 절차를 거쳐야 함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97년, 07년도에도 학생회에 의해 신문이 무단 수거되는 일이 발생했다. 작년 공과대학 학생회의 경우 ‘신문을 가져간 게 무슨 문제냐’, ‘학우로서 신문을 가져간 것 뿐이다’고 말할 뿐 학우들에 대한 공식적인 사과를 거부했다.
학생회에 학우들이 기대하는 바는 학우들의 권리를 위협하는 문제에 대한 목소리를 모아내는 중추적 역할이다. 하지만 이번 신문 무단 수거는 학생회의 엄연한 월권 행위다. 학우들의 알 권리를 학생회의 임의적인 판단으로 침해한 것이다. 기사를 읽고 판단하는 것은 독자의 몫이며 이것은 사회적으로도 통용되는 원리다.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학생회의 개인적인 생각일 뿐이다. 신문은 대학부속기관으로서 행정적인 온당한 절차를 거쳐 발행된다. 하지만 학생회는 이러한 원리ㆍ원칙을 무시하고 있다. 이러한 학생회가 학우들의 권리를 얼마나 대변해 줄 수 있을까.
울산대신문이 38년 동안 신문을 만들어 온 이유는 단 하나다. 기자 자신의 사익을 위해, 신문사 출신이라는 감투를 쓰기 위해서가 아니다. 매일 기자들이 발품을 팔아가며 취재하고 밤새 기사를 쓰는 이유는 바로 학우들의 권리를 지켜주고 그들의 목소리를 담아내기 위해서다. 이를 위해 울산대신문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언제까지나 변함없을 것이다.
이번 사건은 상식과 원칙이 철저히 무시됐다. 매번 자신들의 의사와 다르고, 순응하지 않는다고 해서 ‘없애버리겠다’며 공공연하게 협박하는 부조리는 다신 발생해선 안될 비극이다.
박 다 영 편집국장 (정치외교학·3)